섬망 증상은 무엇일까요?
오늘은 섬망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섬망은 술이나 약물로 인해 뇌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병입니다. 갑작스레 발생하는 정신적 상태로 보통 암환자에게 주로 나타납니다.
보통 몇 시간 또는 며칠사이에 갑자기 시작되고 하루에도 몇 번씩 인식 인지기능 저하 및 주의력 저하가 나타나고 지적 장애, 수면 문제, 비정상적인 정신 활성문제가 나타납니다.
간단히 말해, 섬망은 혼돈과 유사하지만 과다행동(안절부절 못함, 잠을 안잠, 소리지름 등)과 생생한 환각, 초조함, 떨림 등이 있습니다.
섬망 증상은?
- 수면장애: 주로 밤에 불면 증상이 발생합니다.
- 환시: 커튼 또는 벽에 있는 옷을 보고 누군가 있다고 겁을 먹습니다.
- 지남력 저하: 날짜 개념이 없어지고 가까운 지인들을 알아보지 못합니다. 그리고 자신이 어디있는지 모릅니다.
- 의식 장애 및 집중력 저하: 어떠한 일을 맡아도 집중하지 못합니다.
- 사고 장애: 비논리적 사고, 피해망상, 의심 등이 흔하게 나타납니다.
- 정신 운동장애: 과다 각성, 과민성 및 산만함이 나타나고, 반대로 각성 저하, 혼동 진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공격성 및 충동행동: 적절한 판단을 하지 못하여 공격적 또는 충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.
섬망 원인은?
섬망은 비교적 흔한 질환인데 전체 병원 환자의 10~15% 환자가 섬망을 겪는데 특히나 수술 후 또는 노령자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.
섬망은 심각한 내과 및 외과적, 신경학적 질환이나 약물중독 또는 금단 상태에서 나타납니다. 단일 질환이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증후군 입니다.
진단은?
섬망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병력을 자세하게 청취하여 증상의 발생 시점 및 양상을 확인하는 것입니다.
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혈액검사, 요검사 및 뇌 전산화 단층촬영(CT), 자기공명영상(MRI) 촬영, 뇌척수액 검사, 뇌파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.
치매와의 차이는?
섬망은 증상이 시작되는 속도 및 의식 수준에서 치매와 차이가 있습니다. 섬망은 급격히 발병하고 증상 기복이 심합니다. 하지만 회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매와는 구분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치매가 섬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단하기는 참 어렵습니다.
치료는?
원인 질환 치료
- 섬망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원인에 대한 치료입니다. 진단적 평가를 통해 섬망의 원인 질환을 밝혀내고 이를 치료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 치료법입니다.
환경 요인 조절
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- 환자를 적정 수준으로 자극해야하고, 은은한 조명을 통해 환자의 불안감을 줄여줍니다. 환자가 낮과 밤을 구별할 수 있도록 창문이 있는 방에 머물게 해야합니다.
- 환자가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가족이 간호하는게 좋습니다. 그리고 환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물건들을 병실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.
- 환자에게 오늘의 날짜 및 상황을 알려주어 현 상황을 파악하게 합니다. 간병하는 분이 주기적으로 날짜와 장소에 대한 정보를 알려줘야 합니다.
- 환자의 시력 및 청력이 저하됬으면 안경 또는 보청기를 사용하여 보조하는 것이 좋습니다. 시력 및 청력 저하로 주변 자극을 구분하지 못하면 환자의 불안감은 더욱 커져갑니다.
- 불필요한 외부 자극을 최소화해야 합니다. 강한 불빛 또는 그림자, 소음 등은 환자를 혼란스럽게할 수 있습니다.
약물치료
환자가 심한 초조함과 흥분 증상을 드러낼 때에는 소량의 항 정신병 약물을 사용합니다. 수액 및 전해질의 균형, 적절한 영양 및 비타민 공급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섬망 환자는 약물 부작용에 민감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약물이나 특히 진정제, 수면제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경과 및 합병증
섬망은 다른 신체 질환을 견고하는 신호 역할을 하고 치사율도 높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응급 상황으로 간주합니다.
일반적으로 섬망은 회복할 수 있지만 섬망이 인지 기능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.
섬망 환자의 4~50%는 섬망 발생 후 1년 이내에 사망한다고 합니다.
후기
"누가 나를 죽이려 한다" '코로나 섬망' 겪는 환자들
미국 테네시주 프랭클린에 사는 킴 빅토리(31)는 올해 봄 코로나19에 걸려 병원에 입원하는 동안...
www.khan.co.kr
발바닥 껍질 벗겨짐 왜그러는거야?
오늘은 발바닥 껍질 벗겨짐 등 무좀 발생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무좀이라는 것은 곰팡이균(진균)이 각질에 서식하는 전염성 피부질환을 말합니다. 특히 여름에 잘 발생하는 이유는 습
jswiss.tistory.com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릎물참 왜그런거죠? (0) | 2021.10.18 |
---|---|
흑색가시세포증 증상은 무엇일까요? (0) | 2021.10.15 |
발바닥 껍질 벗겨짐 왜그러는거야? (0) | 2021.10.14 |
눈 흰자 부음 이유와 대처 방법도 알아볼까요? (0) | 2021.10.14 |
림프절 부음 왜그러는걸까요?? (0) | 2021.10.13 |
댓글